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파킹통장 금리비교, 안전한 파킹통장 찾는 방법

by 꽉찬꿀통 2022. 11. 2.

미연준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우리나라 역시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인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기준금리는 3.0%까지 인상됐으며 추가 인상을 예상하고 있는 만큼 많은 사람들이 예금, 적금 상품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많은사람들이 안전자산인 적금, 채권등으로 모이자 은행들은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위해 다양한 고금리 상품을 출시하면서 예치기간 조건없이 이자를 챙길 수 있는 파킹통장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금리가 인상되면서 파킹통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만큼 파킹통장의 개념과 은행별 파킹통장 금리비교, 안전한 파킹통장을 찾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는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파킹통장이란?

파킹통장은 주차를 뜻하는 Parking과 통장의 합성어로 주차를 하듯 단기간동안 자금을 예치하는 통장을 뜻합니다. 보통의 예금, 적금 상품과 다르게 입출금이 자유로우며 예치기간동안 조건없이 이자를 챙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파킹통장은 단 하루만 입금해도 지정된 이자를 챙길 수 있는 만큼 예금,적금으로 장기간 묶이기엔 부담스러운 여유자금을 단기간동안 보관하는 용도로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파킹통장의 대표주자, 인터넷전문은행

파킹통장을 취급하는 대표적인 1금융권 은행으로는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토스뱅크가 있습니다. 이들은 인터넷전문은행의 대표주자로 2금융권보다는 금리가 낮지만 보다 안정적이다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금리가 가장 높은 케이뱅크의 파킹통장 플러스박스는 2.7%로 오픈뱅킹중 가장 높은 금리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뱅크 역시 파킹통장 세이프박스를 2.6%의 금리로 운영하고 있으며 토스뱅크는 2.3% 금리의 토스뱅크 파킹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만해도 토스뱅크는 2% 금리의 파킹통장을 선보이며 각광받았지만 현재는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에 뒤쳐진 모습입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10월 한달동안에만 0.4%의 금리를 올리며 가격경쟁에 들어갔으며 토스뱅킹 역시 2.0%에서 2.3%로 금리를 올리고 1억 원의 한도초과를 없애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높은 금리를 자랑하는 2금융권의 파킹통장

2금융권 파킹통장의 매력이라면 높은 금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1금융권의 파킹통장이 대부분 3%이하의 금리라면 2금융권의 파킹통장은 최대 4.8%의 높은 금리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가장 높은 금리를 자랑하는 에큐온저축은행의 머니쪼개기는 무려 4.0%의 금리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뒤이어 웰컴저축은행의 직장인 사랑 보통 예금, OK저축은행의 OK세컨드통장, SBI저축은행의 사이다뱅크가 최소 3.0%의 금리를 자랑하는 파킹통장입니다.

알려드린 저축은행이외에도 다올저축은행의 다올 Fi 저축예금, 하나저축은행의 하이하나 보통예금, 페퍼저축은행의 페퍼스 파킹통장등 다양한 파킹통장 상품이 있습니다.

보다 안전하게 파킹통장 이용하는 방법

아무래도 2금융권의 파킹통장은 1금융권의 파킹통장에 비해 불안요소가 있는 편입니다. 예를들어 내가 돈을 예치했는데 해당 은행이 파산하여 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안요소를 대비해 예금자 보호법을 잘 활용해야합니다.

예금자보호법은 은행에 예치해둔 고객의 돈을 지키는 제도로 금융사가 도산을 하거나 돈을 돌려주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예금보험공사가 원금과 이자를 합해 금융사별 5,000만 원까지 예금을 보호해주는 제도입니다.

즉, 금리가 높다고 한번에 많은 금액을 예치하기보단 예금자보호법에서 보호받는 금액만큼만 예치해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예금자보호법이 있어도 은행이 도산되면 돈을 되찾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 역시 알아두셔야합니다.

파킹통장을 가입하기 전 금융사의 자기자본비율이나 고정이하여신비율등을 확인해 안전한지 체크해두시는 것 역시 추천드립니다. 해당정보는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88클럽 룰을 확인시면됩니다.

88클럽은 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 8% 이상, 고정이하 여신비율 8%이하인 저축은행을 가리키는 말로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BIS자기자본비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방법

BIS자기자본비율 확인방법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서 비은행의 저축은행을 클릭하면 저축은행의 재무정보와 경영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주요경영지표의 자본적정성 분류에 들어가 있습니다.

이후 내가 조회하고자하는 기간과 은행을 체크하고 통계항목중 G코드의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체크한 후 조회를 누르면 은행별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년 6월기준으로 SBI저축은행이 가장 높은 자기자본비율을 보여주고있으며 웰컴저축은행, OK저축은행, 애큐온저축은행 순으로 자기자본 비율이 높았습니다. 자기자본비율은 높을수록 재정이 건전하다는 뜻이며 이전 분기에 비해 수치가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는지도 체크해두면 좋습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확인방법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저축은행 주요경영지표의 여신건전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비율과 마찬가지로 내가 확인하고싶은 은행과 조회기간을 설정한 후 A4코드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을 체크한 뒤 조회를 누르면 됩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자기자본비율관 반대로 낮을 수록 재정이 건전하다는 뜻입니다. 2022년 6월 기준으로 SBI저축은행이 2.26%로 제일 낮았으며 애큐온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오케이저축은행 순으로 여신비율이 낮았습니다.

4곳의 은행모두 고정이하여신비율이 8%이내에 들어와있었지만 OK저축은행의 경우 고정이하여신비율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는 점 역시 체크할 수 있었습니다.

과거 저축은행이 무더기로 도산됐던 사태가 있었던 만큼 BIS자기자본비율, 고정이하여신비율, 예금자보호법을 최대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